fnctId=bbs,fnctNo=2243 총 7 건이 등록되었습니다.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전자책 열람 안내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58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0.07 전동연 정책연구 제4호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가 PDF 버전에 이어 전자책으로도 발간되었습니다. 발간된 지 시일이 많이 지났으나 연구소의 새 연차 과제 준비 시기와 겹쳐 안내가 늦어졌습니다.전북대 동남아연구소(전동연) 홈페이지의 아래 링크에서 내려받아 전자책 앱으로 보시면 됩니다. 무료이니 자유롭게 내려받으시고 세상에 널리 공유해 주시길 바랍니다. 파일은 전자책을 볼 수 있는 어떤 앱으로건 열람이 가능합니다.아이폰, 맥북 등의 애플(Apple) 기기에서는 기본 앱인 도서 앱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교보, 알라딘 등의 전자책 앱은 물론 안드로이드,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 등에서도 열어보실 수 있습니다. 구글 크롬에서는 몇 가지 전자책 열람용 확장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Chrome 용 ePub 리더, EPUB READER 등). 아래 링크의 전자책 파일을 내려받으신 후 크롬용 ePub 리더 화면 왼쪽 상단 메뉴 가운데 기기에서 업로드 로 해당 파일을 선택하시면 바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이런 방법 외에도 다양한 ePub 프로그램이 있으니, 편하신 방법으로 열람하시길 바랍니다.다소 번거로운 점은 있으나 더 널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자 하는 바람에서 전자책 출판을 시도하였습니다. 공부해서 남 주자! 라는 전동연의 모토를 실현하고자 한 시도로 봐주시길 바랍니다!아래 구글 드라이브 링크로 접속하여 다운로드 후 열람하시기 바랍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CbXGFI1_SFnTvb1JZVihPwT2qt6881uy/view?usp=sharing [4호]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023 첨부파일 1 등록일 2024.06.30 전동연에서는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라는 제목의 네 번째 정책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전동연이 2019년부터 한국연구재단 안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전략적 지역연구 분야에 선정되어 "사랑중심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한 동남아 노동 보건 복지 연구" 주제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성과 확산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첨부파일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 목차 제1장 한국 대학의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 현황과 대안1. 문제 제기: 풍요 속의 빈곤2. 선행 연구 검토3. 동남아 관련 교육 실태: 지속되는 희소성과 편중성4. 개선방안5. 정부의 동기부여 정책6. 맺음말 -참고문헌 -웹사이트 제2장 동남아시아 선발 교육과정의 역사, 성과 및 과제: 한국외대와 부산외대를 중심으로1. 들어가며2. 한국외대 동남아 교육과정 사례3. 부산외대 동남아 교육과정 사례4. 나가며 -참고문헌 -웹사이트 제3장 동남아 교육과정 신설과 발전을 위한 연대 전략: 서울대, 서강대, 전북대 사례1. 서론2.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사례3. 서강대 대학원 동남아시아학 협동과정 사례4. 전북대 동아시아다〮문화 융복합 연계전공 사례5. 결론: 비교 분석과 실천적 함의 -참고문헌 -웹사이트 제4장 방학 캠프 방식의 동남아시아 언어 교육 실험 분석1. 서론2. 배경: 대학의 외국어 교육 문제와 해법들3. 추진: 집중 교육 모델의 설계와 실험4. 성과: 수강생, 수료생, 만족도 분석5. 과제: 미국형(원본)과 한국형(사본) 비교 분석6. 결론 -참고문헌 -웹사이트 제5장 미국의 동남아언어여름학교(SEASSI): 역사, 성과 및 함의1. SEASSI의 역사2. SEASSI의 구조3. SEASSI의 재정4. SEASSI의 성과와 한계 -참고문헌 저자소개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352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03.13 단행본 바로보기 전동연의 연구원들이 참여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세계지역전략연구] 정책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난민보호에 관한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난민정책을 마련하는 데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찾는 데 있습니다. 수십 년간 난민과 공존한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아세안 국가들은 그 시사점을 탐색하기에 적절한 무대를 제공해줄 수 있습니다.동남아시아는 주요 난민 발생 지역이자 오랜 기간에 걸쳐 수많은 난민을 수용해왔다는 양면적 특성을 동시에 갖는 지역으로, 동남아시아의 지리환경적 입지를 토대로 형성된 열린 지역체계 로서의 특성이 이러한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배경을 이룹니다. 전통 시대 국가 건설 과정에서부터 서구 열강의 침탈과 독립 이후 근대적 국민국가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치러야 했던 국가간 전쟁과 내전 등, 외부 세력의 영향과 내적 동인이 교차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서는 수많은 난민이 발생했고, 또한 그 열린 경로를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난민을 받아들였습니다.이재민과 실향민, 난민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던 오래전부터 동남아시아에서 국경을 넘나드는 사람들의 이동은 그리 낯선 현상이 아니었습니다. 근대 국민국가가 형성된 이래 국가간의 경계와 출신지에 따라 사람을 구분하는 태도는 엄격해졌지만, 그런 가운데도 동남아시아 각국은 자국 영토로 들어와 사는 사람들의 존재를 묵인하고 비공식적인 수준에서나마 그들 사회로의 통합도 허용해왔습니다. 아세안 주요 난민 수용국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현상들은 「난민협약」과 「의정서」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난민레짐의 틀에 비추어서만은 온당히 평가되기 어려운 난민보호의 다른 지평이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본 연구는 아세안 주요 난민 수용국의 실천이 갖는 함의에 주목하여 우리의 난민정책을 개선하는 데 참조할 시사점을 찾고, 또한 향후 이들 국가와 우리가 협력할 수 있는 분야와 방도를 탐색하고자 합니다. 목차 국문요약제1장 서론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2. 선행연구 검토3. 연구 방법4. 연구 구성제2장 글로벌 난민 위기와 동남아시아: 역사와 현황1. 열린 지역체계 동남아시아와 난민 위기의 역사적 전개2. 동남아시아 역내 난민 현황3. 동남아시아 난민보호 프레임워크 개관제3장 아세안 주요국의 난민지원정책1. 태국2. 말레이시아3. 인도네시아4. 필리핀5. 캄보디아6. 국가별 사례 비교분석 함의제4장 결론: 한국에 대한 시사점1. 한국 난민지원정책 차원의 함의2. 한국 외교 및 국제개발협력 관련 시사점3. 한국 시민사회의 연대활동 관련 시사점참고문헌Executive Summary단행본 바로보기 [3호]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687 첨부파일 1 등록일 2023.08.31 전동연에서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전북 지역 베트남 출신 근로자 고용 사례를 중심으로" 라는 제목의 세 번째 정책연구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전동연이 2019년부터 한국연구재단 안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전략적 지역연구 분야에 선정되어 "사랑중심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한 동남아 노동 보건 복지 연구" 주제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성과 확산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첨부파일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보고서 목차 제1장 서론1. 연구목적2. 연구 방법3. 보고서 구성 제2장 외국인 계절근로자 프로그램 개요1.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절차2. 참여 주체별 신청요건과 역할3.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유형과 운영 조건 제3장 전북 지역 농촌ㆍ농업의 주요 문제와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1. 농업 분야 외국인 근로자 고용제도 시행 현황과 주요 쟁점2. 전북 지역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시행 현황 제4장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운영실태와 개선과제1. 계절근로자 모집과 신청2. 언어 소통3. 근로조건과 복지4. 근무처 변경 및 추가5. 계절근로자의 사업장 이탈6. 외국인 계절근로자 체류 기간과 도입 시기 제5장 결론1. 연구 요약2. 정책 제언 참고자료 [2호] 외국인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과 영향 요인: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근로자를 중심으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185 첨부파일 1 등록일 2022.07.22 전동연에서는 "외국인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과 영향 요인: 베트남 캄보디아 출신 근로자를 중심으로" 라는 제목의 두 번째 정책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전동연이 2019년부터 한국연구재단 안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전략적 지역연구 분야에 선정되어 "사랑중심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한 동남아 노동 보건 복지 연구" 주제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성과 확산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첨부파일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정책보고서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내용과 방법 3. 보고서 구성 제2장 베트남 출신 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과 영향요인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건강생활습관3.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4. 근무 관련 특성5. 일상생활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8.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제3장 캄보디아 출신 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과 영향 요인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건강생활습과3.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4. 근무 관련 특성5. 일상생활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8. 대상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제4장 결론1. 연구요약 및 정책 제언2. 출신 국가별 차이와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3. 연구의 한계 [1호] 한국 시민사회의 동남아시아연대운동: 노동 및 보건 분야를 중심으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595 첨부파일 1 등록일 2021.06.25 전동연에서는 "한국 시민사회의 동남아시아연대운동: 노동 및 보건분야를 중심으로" 라는 제목의 첫 정책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본 보고서는 전동연이 2019년부터 한국연구재단 안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의 전략적 지역연구 분야에 선정되어 "사랑중심의 신남방정책 추진을 위한 동남아 노동 보건 복지 연구" 주제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성과 확산의 일환으로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첨부파일에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정책보고서 목차: 제1장 서론제2장 한국 시민사회의 아시아연대운동 30년: 동남아시아연대를 중심으로1. 시민사회의 발전과 새로운 연대운동의 출범2. 아시아 연대운동의 부문별 전개3. 연대운동의 가능성과 과제제3장 이주노동 분야 한국 시민사회의 동남아연대운동1. 이주노동자운동과 한국 시민사회2. 이주노동자 지원 단체 현황3. 이주노동자 지원 단체의 특징4. 이주노동자 지원활동의 함의제4장 보건의료 분야 동남아연대운동 단체 현황과 특징1. 보건의료 분야 동남아연대운동 단체 현황2. 보건의료 분야 동남아연대운동의 특징3. 한계와 과제제5장 국제민주연대 와 기업감시, 인권, 그리고 평화를 위한 활동1. 국제민주연대 활동과 동남아 이슈들2. 활동 자원과 네트워크3. 성과와 어려움, 그리고 과제4. 정부, 학계, 시민사회에 대한 바람들제6장 희망의친구들 과 이주민 건강권 옹호1. 희망의친구들, 그 시작2. 주요 활동3. 인적, 물적 자원4. 성과와 어려움, 과제와 바람제7장 베트남평화의료연대 와 역사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의료 활동1. 역사와 주요 활동2. 활동을 위한 인적, 물적 자원3. 국내외 네트워크4. 기억에 남는 성과5. 어려움과 과제, 바람제8장 결론 동남아시아 농업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공요인 분석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925 첨부파일 0 등록일 2021.05.28 [동남아시아 농업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공요인 분석: 지역사회 개발협력 사례 중심으로]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주관하여 수행한 연구 성과가 단행본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추진하는 세계지역전략연구 공모과제 중 하나로 수행한 과제로, 동남아시아 농업분야 개발협력사업 성공요인 분석: 지역사회 개발협력 사례 중심으로 라는 제목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서글픈 현실이지만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성공사례를 찾아보기란 쉽지가 않습니다. 그런 이유로 이 과제도 성공사례가 아닌 성공요인 을 찾아보려 한 시도이고, 과거의 시행착오를 통해 미래의 실패 가능성을 줄이는 데 기여하겠다는 일념으로 실패 및 한계 요인에 대한 분석도 겸하였습니다.책에는 우리나라의 중점협력국이기도 한 동남아 6개국―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라오스, 필리핀, 미얀마―에 대한 사례연구가 소개되어 있는데, 우리나라 농업분야 개발협력의 전략목표별 사업유형―생산성 증대 및 시장성 강화, 포용적 농촌개발, 기후변화 대응―에 따라, 그리고 시행주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정부와 민간부문(기업, 대학 및 학술단체, 시민사회단체)이 주도하여 추진한 사업들로 사례를 안배했습니다.전동연의 전제성 소장을 연구책임자로 하여 여섯 개 국가에서 지역연구를 수행해온 동남아 연구자 네 명―김희숙(미얀마), 백용훈(베트남), 정법모(라오스, 필리핀), 정연식(캄보디아)―이 공동연구자로 참여하였고, 전동연의 박희철 객원연구원이 인도네시아 사례를 맡아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전동연의 미래를 이어나갈 후속세대인 김다혜, 김현경 박사수료생도 동남아 농업개발협력 동향과 선행연구 동향에 관한 집필에 참여했습니다.과제에 참여한 모든 연구자들이 오랫동안 동남아 지역연구를 수행해왔지만, 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해외지역연구자로서 큰 불운이 따르기도 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하늘길이 막혀 동남아 현지조사를 수행할 수 없었다는 점입니다. 비단 이 연구과제에 참여한 이들에게만이 아니라 해외지역 연구자들에게는 코로나19 팬데믹이 가한 타격이 무척 큽니다. 그러한 가운데 우리는 이 연구를 계기로 서둘러 뉴노말 을 실험했습니다. 현장에 가지 못하는 대신 신속히 현지의 연구네트워크를 가동하여 대리 현지조사를 수행하는 한편 이메일과 화상회의를 통해서도 현지 관점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노력했습니다. 국내에서는 선정한 사업 사례와 직ㆍ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여러 주체들과 개발협력 전문가들을 만나 정보를 얻고 자문을 구했으며, 관련 보고서나 자료들도 꼼꼼히 탐독했습니다.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직접 현지조사를 하지 못한 데 따른 한계는 분명합니다. 그렇지만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동남아 농업 및 농촌개발협력 사업은 계속될 것이니, 신흥 공여국으로서 아직도 갈 길이 먼 우리나라 개발협력을 개선해가는 데 이 연구가 디딤돌이 되어 주기를 기대합니다.이번에 발간된 단행본은 시중에서 구매하실 수 있으며, 아래 링크로 들어가 원문을 내려받으실 수도 있습니다.단행본 바로보기 처음 11 1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