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248 말머리 분류 전체 국내학술대회 국제학술대회 라운드테이블 정책간담회 총 28 건이 등록되었습니다.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라운드테이블] 5‧18기념재단과 상호협력을 위한 라운드테이블 개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32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0.04 전동연과 5‧18기념재단이 2025 광주민주포럼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0월 4일 전북대에서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전동연과 5‧18기념재단이 MOU를 체결하여 보다 본격적으로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5‧18기념재단에서는 글로벌센터의 박채웅 부장, 홍유정 팀장, 신하영 부원이 참석합니다. 홍유정 팀장이 광주민주포럼의 역사 및 2025년 기획안 을 발표하고 나현필(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 서수연(아시아민주주의네트워크 팀장), 양영미(광주민주포럼기획위원장), 현시내(서강대 동아연구소 연구교수), 전제성(전북대 동남아연구소장) 광주민주포럼기획위원과 전동연의 전임연구원 김희숙, 김주영, 박진영 박사가 발표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토론에서는 2025 광주민주포럼의 세부적인 방향과 전동연의 패널 구성이 논의되었습니다. [국제학술대회] 2023 한일 공동학술대회 개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07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0.04 동남아 연구자들의 학술 교류의 장인 한일 공동 동남아연구학술대회가 전동연과 한국동남아학회, 그리고 교토대 동남아연구센터의 공동 주최로 5월 26일부터 27일 양일간 교토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그간 한국과 일본에서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왔는데 코로나로 인해 2020년과 2021년에는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으며 2023년에는 대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불확실성의 시대에 동남아연구 하기 Engaging Southeast Asian Studies in an Age of Uncertainties"라는 대주제 하에 종교, 동남아 지역 내 국제관계, 국제 개발, 역사, 경제와 산업, 소셜 미디어 등 다채로운 주제들이 논의되었습니다. 전동연에서는 전제성 소장이 참여하여 "한국 시민 사회의 아시아 연대 운동: 30년의 발전"을 주제로 기조 발제를 했습니다. [국내학술대회] 전동연 지역설명회-한국동남아연구소 월례발표회 공동개최 안내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11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0.04 12월 15일(금) 오후 4시에 전동연의 2023년 마지막 지역설명회 겸 한국동남아학회 한국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가 열렸습니다. 한국동남아학회 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는 개인연구자 발표와 더불어 전북대, 서강대, 부산외대, 서울대 소재의 동남아지역 연구소와 결합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되어 왔는데요, 2023년의 마지막 월례발표회를 전동연이 함께 개최하였습니다.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인 2024년을 앞두고, 전동연 전제성 소장이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 우리는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 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설립 20주년 기념식 관련 논의를 주도하고, 전동연의 김현경 객원연구원이 토론으로 참여했습니다.송년회를 겸하여 열렸던 지역설명회-월례발표회는 온오프라인이 동시에 진행되었습니다.◆ 일시: 2023년 12월 15일(금) 오후 4시-6시◆ 장소: 서강대학교 다산관 209B호◆ 프로그램■ 발표 1: 우리나라 은행의 해외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 발표: 이충열(고려대 경제통계학과), 토론: 고영경(고려대 아세안센터), 김종호(서강대 동아연구소)■ 발표 2: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 우리는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 | 사회-발표: 전제성(전동연), 토론: 박사명(강원대), 이충열(고려대), 홍석준(목포대), 신재혁(고려대), 이창규(뉴욕주립대), 김현경(전동연), 이정우(고려대) [국내학술대회] 2024 광주민주포럼 개최 및 전동연 세션 안내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22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10.04 5 18기념재단이 주최하고 저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가 공동주관하는 "2024 광주민주포럼"이 2024년 5월 14일(화)부터 18일(토)까지 5 18기념문화센터에서 개최되었습니다.5월 16일에는 다큐멘터리 상영회가, 17일 오전에는 전동연 연구원이 참여하는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2024 광주민주포럼 개요 ◯ 주제: 자유의 위기 우리가 바라는 미래 (Crisis of Freedom The Future What We Want) ◯ 소주제: 우리가 바라는 미래, 아시아의 선거 그리고 민주주의, 이행기 정의, 남겨진 과제 ◯ 기간: 2024년 5월 14일(화) ~ 18일(토) ◯ 장소: 5 18기념문화센터 ◯ 세부사항: 광주민주포럼 홈페이지 참조: http://2024gdf.518.org/index.do※ 특별세션 미얀마 시민저항: 우리는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일시: 2024.5.17. 11:00 - 13:00◯ 연사: 좌장 김희숙(전동연 전임연구원), 발제 이유경(국제분쟁 전문기자), 박진영(전동연 전임연구원), 나현필(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 내용: 미얀마의 군부집권이래 한국의 시민사회는 지속적으로 미얀마의 시민들에 연대하며 지원을 하고 있다. 버마 민주화운동 당시 처음 시작된 미얀마 연대와 지원활동은 군부 집권 이후부터 한국의 거의 모든 시민사회가 힘을 모아 미얀마의 민주화와 군부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2024년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기획하고 준비한 이번 특별 세션에서는 국경지역으로 피난한 난민들의 생활, 미얀마 정세, 한국의 미얀마 국제연대 활동들을 살펴본다. [국내학술대회] 2024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92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09.04 지난 목, 금요일 양일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경영관에서 개최된 2024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전동연은 학술대회 첫 날의 첫 번째 패널을 기획하여 참여했고, 공동주최 기관으로서 학술대회 준비부터 시작하여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무를 맡아 학술대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 개의 전체회의와 19개의 분과회의가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고, 42개의 발표와 15개의 외국인 발표, 14개의 대학원생 발표가 이뤄졌습니다. 또한, 임시총회를 개최하여 6개월 뒤 취임할 차기학회장도 미리 선출하였는데 전폭적 지지로 당선된 김동엽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앞으로의 건승을 바라겠습니다.오래전부터 학술대회를 기획하고 추진한 배기현 연구협력위원장님, 박진영 국제협력위원장님, 이경묵 총무위원장님의 수고에 감사드리며 송승원 부회장님, 구보경, 이미지 국제협력위원님, 김희숙, 백용훈 총무위원님 등 여러 이사님들께도 감사드립니다. 특히,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어 현장에서 고생하신 문기홍 연구협력위원님과 정법모 국제개발협력연구위원장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국제학술대회] 2024 동남아연구 한일공동학술대회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41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09.04 지난 토, 일요일 양일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경영관에서 개최된 2024 동남아연구 한일공동학술대회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습니다.한국동남아학회(KASEAS)와 국내 여러 연구기관이 교토대 동남아지역연구소(CSEAS)와 일본동남아학회(JSSEAS)의 학자들을 부산으로 초청하였지만, 태풍 산산의 일본 상륙으로 부득이하게 하이브리드 회의로 전환되었습니다. 기획 및 추진을 담당했던 전동연(JISEAS)과 현장 업무를 맡았던 국립부경대(PKNU) 사람들은 기존 계획을 대거 취소하고 하이브리드 전환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큰 사고 없이 대회를 마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올 해 대회는 CSEAS뿐 아니라 일본동남아학회(JSSEAS)도 참여하는 대회로서 2009년부터 추진되던 공동학술대회의 폭을 넓히는 계기로 의의를 지닙니다. 대면으로 진행되어 서로의 성과와 관점을 나누고 향후 발전방향도 모색했다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남지만, 20년전부터 동남아연구한일학술대회를 출범시켰던 Kosuke Mizuno교수가 국립인도네시아대 환경대학원(SILUI)의 일원으로 참여하여 자리를 빛내주셨음에 감사드립니다. [라운드테이블]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라운드테이블 공동 개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232 첨부파일 2 등록일 2024.07.01 전동연에서는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과 공동으로 "해외지역학 교육의 개방과 연대 라운드 테이블"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였습니다. 일시: 2024.07.01(화) 14:00 장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일정- 발표1. 전제성 교수(전북대 동남아연구소)2. 송승원 교수(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 통번역학과)3. 이미지 교수(부산외대 태국어학과)4. 여운경 교수(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만찬 라운드테이블에 참여한 전북대 동남아연구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필진과 2024 아시아언어캠프에 참여한 대학원생 11명을 포함하여 만찬 진행 [국내학술대회] 2023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487 첨부파일 0 등록일 2023.09.07 금, 토요일 양일간 전북대학교 인문사회관에서 개최된 2023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전동연은 학술대회 첫 날의 첫 번째 패널을 기획하여 참여했고, 공동주최 기관으로서 핛술대회 준비부터 시작하여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실무를 맡아 학술대회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한 개의 전체회의와 13개의 분과회의가 이틀에 걸쳐 진행되었고, 연구자와 대학원생, 학부생, 시민사회 활동가, 기업인, 관계 공무원들까지 100명을 웃도는 다양한 소속의 참가자들이 학술대회에 참가하면서 역대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를 함께 만들어주셨습니다. 의미있는 축사와 더불어 학술대회를 후원해주신 한-아세안센터 김해용 사무총장님과 직원분들, 환영사를 전해준 양오봉 전북대 총장님, 그리고 학술대회를 지원해주신 서강대 동아연구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부경대 글로벌지역학연구소 동남아시아연구센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그리고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의 선생님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무엇보다 귀한 시간을 내서 자리를 빛내주신 모든 참가 선생님들께 가장 큰 감사를 드립니다! 2023 연례학술대회를 포함하여 이전 연례학술대회의 논문자료집은 한국동남아학회 홈페이지(학술대회-정기학술대회)에서 열람 및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kaseas.org/seminar [국내학술대회] [2023년 난민포럼] 난민의 국내정착과 보호확대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417 첨부파일 0 등록일 2023.05.09 2023년 4월 28일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난민의 국내정착과 보호확대: 제주도 난민 유입 5주년을 돌아보며"를 대주제로 2023년 난민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이번 난민포럼은 유엔난민기구, 이민정책연구원, 국가인권위원회가 주최하고, 전동연이 공동 주관으로 함께 했습니다.라운드 토론에는 전동연의 전제성 소장이 토론자로 참석하여 사람중심의 동남아 노동보건복지 연구의 연장선 속에서 미얀마 위기의 장기화를 계기로 전동연이 난민연구에 가세하게 된 배경을 소개하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 중인 동남아 주요국과 아세안의 난민보호정책 연구에 대한 소식도 함께 공유했습니다. [라운드테이블] 동남아연구소들 간 학술 협력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 공동 개최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562 첨부파일 0 등록일 2023.01.11 전동연에서는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과 공동으로 "동남아연구소들 간 학술 협력을 위한 라운드 테이블"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였습니다. 일시: 2023.01.05(목) 16:00 장소: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개회식- 사회: 구보경 교수(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개회사: 김동엽 교수(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환영사: 박장식 교수(동아대 아세안연구소)연구소 근황 및 연구사업 소개 - 발표 1. 전제성 교수(전북대 동남아연구소) 2. 김동엽 교수(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3. 배기현 교수(서강대 동아연구소)4. 신재혁 교수(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원)5. 박장식 교수(동아대 아세안연구소) 연구소들 협력방안 논의 - 사회: 전제성 교수 - 협력방안 초대학적 대학원 협동과정 창설 국제학술회의 공동개최 한아세안 학술교류사업 부활 : 한국동남아학회의 한아세안협력기금 사업 신청, 수주, 추진 학술지 발전을 위한 공조 등 처음 13 1 2 3 다음 페이지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