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244
- 작성일
- 2025.07.17
- 수정일
- 2025.07.17
- 작성자
- 동남아연구소
- 조회수
- 396
[학술총서 04]『동남아시아, 아래로부터의 건강보장』 발간
![[학술총서 04]『동남아시아, 아래로부터의 건강보장』 발간 첨부 이미지](/sites/jiseas/atchmnfl/bbs/2244/thumbnail/temp_1752735072513100.png)
전동연의 네 번째 학술총서, <동남아시아, 아래로부터의 건강보장>이 발행되었습니다.
이 책은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2021), <동남아시아의 건강보장>(2022)에 이어 동남아시아의 보건을 주제로 전동연이 기획한 세 번째 결과물입니다.
동남아시아의 감염병 대응에서 시작한 전동연의 보건연구는 보편적 건강보장을 향한 제도적 형성과정과 특징을 다루는 작업까지 이어졌습니다.
이번 책은 시선을 보다 미시적인 수준으로까지 확장하여 국가 주도의 제도와 정책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하위 국가 수준의 다양한 주체들에 의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실천에 의해서도 건강보장의 지평이 확대되어 왔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싱가포르, 미얀마, 베트남에서 의료접근성과 건강권의 문제를 풀기 위하여 전개된 사회운동의 전략, 초국적 단체의 실험, 시민사회의 활동, 소수민족 보건단체들의 실천, 지역사회 자조 모임과 공식 시스템과의 연계에 관한 이야기들을 현장 조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조명합니다. 이를 통해 전동연의 네 번째 학술총서는 실제 사람들이 살아가는 현실과 긴밀하게 연결된 '아래로부터의' 건강보장에 대한 접근을 보여주며, 제도와 실천 사이의 간극을 살펴보는 데 의미 있는 틀을 제시할 것입니다.
* 목차
제1장. 인도네시아 국민건강보험감시운동의 전략과 가치: 공장에서 공공으로 | 전제성
제2장. 캄보디아 직장의료보험제도 도입 과정: 마을의 실험을 국가의 정책으로 | 박진영
제3장. 싱가포르 시민사회의 이주노동자 건강보장 지원 활동 | 김주영
제4장.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풀뿌리 의료 활동 | 김희숙
제5장. 베트남 애국위생운동과 지역사회 건강증진 활동 | 백용훈
이 책은 <코로나19에 맞서는 동남아시아>(2021), <동남아시아의 건강보장>(2022)에 이어 동남아시아의 보건을 주제로 전동연이 기획한 세 번째 결과물입니다.
동남아시아의 감염병 대응에서 시작한 전동연의 보건연구는 보편적 건강보장을 향한 제도적 형성과정과 특징을 다루는 작업까지 이어졌습니다.
이번 책은 시선을 보다 미시적인 수준으로까지 확장하여 국가 주도의 제도와 정책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하위 국가 수준의 다양한 주체들에 의한 자발적이고 창의적인 실천에 의해서도 건강보장의 지평이 확대되어 왔다는 사실에 주목합니다.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싱가포르, 미얀마, 베트남에서 의료접근성과 건강권의 문제를 풀기 위하여 전개된 사회운동의 전략, 초국적 단체의 실험, 시민사회의 활동, 소수민족 보건단체들의 실천, 지역사회 자조 모임과 공식 시스템과의 연계에 관한 이야기들을 현장 조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조명합니다. 이를 통해 전동연의 네 번째 학술총서는 실제 사람들이 살아가는 현실과 긴밀하게 연결된 '아래로부터의' 건강보장에 대한 접근을 보여주며, 제도와 실천 사이의 간극을 살펴보는 데 의미 있는 틀을 제시할 것입니다.
* 목차
제1장. 인도네시아 국민건강보험감시운동의 전략과 가치: 공장에서 공공으로 | 전제성
제2장. 캄보디아 직장의료보험제도 도입 과정: 마을의 실험을 국가의 정책으로 | 박진영
제3장. 싱가포르 시민사회의 이주노동자 건강보장 지원 활동 | 김주영
제4장. 쿠데타 이후 미얀마의 풀뿌리 의료 활동 | 김희숙
제5장. 베트남 애국위생운동과 지역사회 건강증진 활동 | 백용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