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0.04.16
수정일
2023.01.12
작성자
동남아연구소
조회수
1078

[1] 코로나19에 맞선 동남아의 대응: 초기 대처과정의 잠정적 함의 ㅣ 김희숙·유민지·김다혜·김현경·양영란·전제성

[1] 코로나19에 맞선 동남아의 대응: 초기 대처과정의 잠정적 함의 ㅣ 김희숙·유민지·김다혜·김현경·양영란·전제성 첨부 이미지


초록


코로나19의 기세가 만만치 않다. 대다수 국가들이 중국으로부터의 유입만 막으면 안전할 거라 생각했지만 코로나19는 파죽지세로 전 세계를 휩쓸어 곧 대유행의 시대를 열었다. 동남아에서도 코로나19는 뒤늦게 맹위를 떨치고 있다. 이에 동남아 각국은 외부로부터의 유입 차단에 집중했던 초기 대응책보다 강도 높은 후속대책을 내놓으며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는 상황이다.

입국통제와 지역봉쇄, 일련의 거리두기 조치로 요약되는 각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책은 적용 시기와 범위, 강도 면에서 차이가 있었고, 그 결과는 연일 집계되는 확진건수와 사망건수의 차이로 가시화되고 있다.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동남아 각국 정부가 내놓은 대응책의 시계열적 변화와 강도, 보건의료역량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베트남과 싱가포르, 브루나이 등의 국가가 이룩한 성과는 감염 확산 전 초기 단계에서의 치밀한 방역과 적극적인 진단, 공중보건의료역량의 신속하고 전면적인 동원이 방역의 핵심임을 말해준다. 반면 조기에 감염 확산을 막지 못한 국가들의 경우 강도 높은 사회통제 조치에 의존하지만 의료체계의 과부하에 따른 사망자 속출 사태를 막지는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는 감염병대응전략이 보편적 건강보장을 향한 노력과 사회안전망의 강화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

코로나19의 초국적 전개는 감염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조와 협력을 긴급한 과제로 호출하고 있다. 4월 14일 개최된 아세안+3(한ㆍ중ㆍ일) 특별화상정상회의는 코로나19에 대한 공동대응과 포스트 팬데믹 회복을 위한 국제적 공조의 첫걸음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아시아가 코로나19 시대의 ‘희망지대’로 부상한 지금이야말로 위기공동대응체계의 실질적 가동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할 때다.


이슈페이퍼 1호 내려받기



첨부파일
다음글
[2] 코로나19 위기 속의 동남아시아: 사람 중심의 보건 협력, 어떻게 할 것인가? ㅣ 서보경
동남아연구소 2020-06-04 16:30:46.0
이전글
이전글이(가) 없습니다.